반응형
아이의 몸이 뜨거워졌을 때 부모는 가장 먼저 "열이 나는 걸까?"라는 걱정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막상 체온계를 들이대도 몇 도부터를 '발열'로 판단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아의 발열 기준, 주의해야 할 상황, 가정에서의 대처법 등을 정리해드릴게요.
1. 소아 발열 기준: 몇 도부터일까?
반응형
일반적으로 체온이 38.0℃ 이상이면 발열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측정 위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 항문 체온: 38.0℃ 이상 → 발열
- 구강 체온: 37.8℃ 이상 → 발열
- 귀(고막) 체온: 38.0℃ 이상 → 발열
- 겨드랑이 체온: 37.5℃ 이상 → 발열 의심
※ 아이의 나이나 체온계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한 가지 방식으로 반복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체온 측정 전 꼭 알아야 할 팁
- 30분 전 음식 섭취나 운동은 피하기: 체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항문 체온계 사용 시 주의: 3개월 미만 영아는 항문 체온 측정이 가장 정확하지만, 반드시 위생과 안전을 고려해야 합니다.
- 연속적인 측정이 중요합니다. 단발성 체온보다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이를 보는 게 정확합니다.
3. 발열 시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는 지체 없이 소아과를 방문해야 합니다.
- 3개월 미만의 영아가 38℃ 이상일 경우
- 발열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아이의 의식이 흐리거나, 잘 놀지 않고 무기력할 경우
- 경련, 발진, 구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동반될 경우
- 해열제를 먹였는데도 체온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아이들은 건강해야 잘 자란다. 부모는 그 건강을 지켜주는 첫 번째 의사다.”
4. 해열제 복용 타이밍과 주의점
- 체온이 38.5℃ 이상이고 불편해하면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생후 6개월 미만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만 사용해야 하며, 이부프로펜은 생후 6개월 이후부터 가능합니다.
- 해열제 사용 후에도 기본적인 수분 섭취와 휴식이 중요합니다.
5. 집에서 해줄 수 있는 대처법
-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기: 찬물이나 알코올은 사용 금지입니다.
- 옷을 너무 두껍게 입히지 않기: 통풍 잘 되는 얇은 옷이 좋습니다.
- 수분 보충: 물, 전해질 음료 등으로 탈수를 예방하세요.
- 적절한 실내 온도 유지: 20~22도 정도가 쾌적합니다.
바쁜 부모를 위한 3줄 요약
- 소아의 발열 기준은 보통 38도 이상이며, 측정 부위에 따라 다릅니다.
- 3개월 미만 아기의 발열은 무조건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 해열제는 체온과 증상을 함께 고려해 사용해야 하며, 과도한 복장은 피하세요.
반응형
'세상의 모든 소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아픈 시기, 일상 루틴 조정하는 팁 (0) | 2025.05.13 |
---|---|
병원 언제 가야 할까? 아이 열나면 체크할 5가지 (0) | 2025.05.13 |
2주 만에 뱃살 줄이기, 가능할까? 진짜 실천 후기 공개 (0) | 2025.05.09 |
체중 감량을 위한 현실적인 다이어트 식단 전략 (0) | 2025.05.02 |
세라젬 건강한 일상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1)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