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가 열과 설사를 동시에 보일 때, 많은 부모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건 장염 또는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하지만 이 증상이 모든 바이러스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증상과 경과를 잘 관찰해야 합니다. 오늘은 아이의 열+설사 증상이 왜 생기는지, 바이러스성 감염의 특징, 병원에 가야 할 기준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1. 열+설사 = 거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성
반응형
아기나 유아가 갑자기 열이 나고 설사를 동반한다면, 가장 흔한 원인은 장바이러스입니다.
대표적인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로타바이러스: 생후 6개월~2세 사이에 흔함, 구토부터 시작되는 경우 많음
- 노로바이러스: 집단 감염 많음, 구토가 심하고 열은 경미
- 아데노바이러스: 열이 높고 설사도 오래감, 눈병 동반되기도 함
이런 바이러스들은 대부분 자연 회복이 가능하지만, 상태에 따라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2. 바이러스성 설사의 특징
- 물처럼 묽고 횟수가 잦음
- 설사에 점액이 섞여 있을 수 있음
- 아이가 잘 놀다가도 갑자기 힘이 빠짐
- 심한 경우 탈수 증상(입이 마름, 눈물 없음) 발생
※ 피가 섞인 설사, 심한 복통, 설사가 1주 이상 지속될 경우엔 세균성 감염일 수도 있으니 반드시 병원 진료 필요
3. 열은 왜 함께 나타날까?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 면역 반응으로 체온이 올라가며 염증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고열(38.5℃ 이상)이 지속되면,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 위험이 커지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 해열제 복용은 아이가 힘들어할 때, 체온과 증상을 고려해 선택하세요.
→ 단, 해열제로만 열을 다스리려 하지 말고 수분 보충과 휴식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감기는 시간이 낫고, 아이의 회복은 부모의 눈으로 확인된다.”
4. 집에서 대처하는 기본 원칙
- 수분 보충이 최우선: 물, 전해질 음료, 묽은 미음 등
- 기름지거나 유제품은 피하기: 장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 입맛 없을 땐 강요 금지: 소량이라도 먹는 것이 중요
- 기저귀 상태 자주 확인: 소변이 줄면 탈수 신호일 수 있음
5. 병원에 가야 할 체크포인트
- 고열이 2일 이상 지속되거나
- 설사 횟수가 너무 잦아 탈수 위험이 클 경우
- 구토가 심해서 물도 못 마시는 경우
- 피 섞인 설사나 복통을 심하게 호소할 때
- 3개월 미만 아기에게서 열과 설사가 동반될 때
→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즉시 소아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바쁜 부모를 위한 3줄 요약
- 아이의 열과 설사는 대부분 바이러스성 장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탈수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수분 보충을 최우선으로 관리하세요.
- 고열, 혈변, 탈수 증상이 보이면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반응형
'세상의 모든 소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장염 시 탈수 예방법의 모든 것 (1) | 2025.05.13 |
---|---|
아이 바이러스 장염 시 식사 조절법 (0) | 2025.05.13 |
아이가 아픈 시기, 일상 루틴 조정하는 팁 (0) | 2025.05.13 |
병원 언제 가야 할까? 아이 열나면 체크할 5가지 (0) | 2025.05.13 |
소아 발열 기준은 몇 도부터?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상식 (1)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