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르바이트

모르면 손해보는 근로자의 권리 주휴수당 완벽 가이드 노동의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모든 근로자의 기본 권리입니다. 그중에서도 '주휴수당'은 많은 근로자, 특히 아르바이트생이나 파트타임 근로자들이 자주 놓치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주휴수당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리고 지급 거부 시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주휴수당(週休手當)은 근로자가 유급 주휴일에 받는 임금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 유급휴일에 지급되는 금액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주휴수당은 단순히 '보너스'가 아니라 법적으로 보장된 당연한 임금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면서도 경제적 안정을 지원하는 제도로, 업..
근로자의 날 휴일수당? 당당하게 받으세요! "곧 다가오는 노동절(근로자의 날) 부득이하게 출근하시는 분들... 벌써부터 지치고 피곤하시죠.." 법적으로 근로자의 날에 출근을 하게 되면 휴일수당을 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를 지켜지지 않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56조와 제109조에 따라서 사업주에게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부과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꼭 챙겨야겠죠? (사장님들 꼭 챙기세요!) but!! 5인 미만의 사업장은 해당이 안되요~ 근로기준법을 살펴볼까요? 제56조(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ㆍ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